[IT용어] DMB, PDP, PDA, PMP, PSP, 와이브로, 유비쿼터스, WIPI, Wi-Fi

Posted on 2008. 10. 16. 14:37
Filed Under 잡다구리/용어


1. DMB

위성과 지상파 주파수를 이용한 신개념의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해 고정용이나 휴대용·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줄임말이다. 디지털오디오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기술에 바탕을 두며, 여기에 멀티미디어방송 개념이 더해져 동영상과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휴대폰·PDA·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이동 수신이 가능할 뿐 아니라, 오디오·비디오·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방송과 쌍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방송통신의 융합시대를 알리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진다. 송출 수단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나뉜다.

지상파 DMB

지상의 기지국에서 주파수를 통해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한국에서는 2004년 3월 기존의 VHF 12번 채널(주파수 204~210㎒)과 8번 채널(주파수 180~186㎒)을 이용해 서비스를 실시하기로 확정하였다. 지상파TV 한 채널에 3개의 DMB 사업자 선정이 가능하며, 한 사업자는 1개 TV방송과 3개 라디오방송, 1개 문자방송 등을 제공할 수 있다.

2005년 3월 지상파 DMB 사업자로 6개 업체가 선정되었는데, 지상파TV 사업자군에서는 KBS·MBC·SBS의 3개 방송사가, 비지상파TV 사업자군에서는 KMMB·한국DMB CBS·YTN DMB의 3개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지상파 DMB는 2005년 6~7월쯤 서울과 수도권에서 무료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위성 DMB

지상파 DMB와 달리 위성 중계를 통해 서비스를 실시한다. 방송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보내면 위성은 이를 전파를 통해 전국의 DMB용 단말기에 뿌려주는 방식이다. 수신율이 낮은 도심 지역에서는 중계기를 통해 방송을 수신하게 된다. 한 사업자가 10여 개 TV방송, 20여 개 라디오방송, 3~4개 데이터방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파수는 2.605㎓ 이상이다.

미국에서는 2001년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방송서비스를 시작했고, 일본에서는 2004년 10월 상용서비스를 개시했다. 한국에서는 2002년 SK텔레콤이 일본기업 MBCo와 합작으로 이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 2004년 3월 SK텔레콤과 MBCo가 공동사용할 위성 <한별 1호>를 쏘아올렸다. 2004년 말에 위성 DMB 사업자로 SK텔레콤를 중심으로 150개 업체가 참여해 설립한 <TU미디어>가 최종 선정되었다. TU미디어는 2005년 1월 위성 DMB 시험방송을 시작했고, 같은 해 5월부터 상용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한다.
 
2. PDP (Plasma Display Panel)
플라스마 상태의 가스에 전기를 방전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줄여서 흔히 PDP라고 부른다.

플라스마는 진공상태에서 네온 가스 등을 초고온으로 높여서 이온으로 바꾼 물질상태를 말한다. 이 플라스마 가스를 두 전극 사이에 넣고 전기를 통하면 입자들의 충돌이 심해져 빛이 일어난다.

PDP는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진공상태의 얇은 유리판 두 장 사이에 네온과 아르곤 가스를 넣고 전기를 통해준다. 이 때 발생하는 빛으로 화면에 발라진 형광물질을 자극하여 천연색 컬러를 방출한다.

PDP는 자연스러운 색을 나타내므로 어느 방향에서나 화면이 선명하며 밝다. 따라서 LCD와 함께 고화질텔레비전(HDTV)의 수상기 화면으로 널리 사용된다. 또한 PDP는 브라운관이나 LCD로는 만들기 어려운 40인치 이상의 대형화면을 얇고 가볍게 만들 수 있으므로 플라스마텔레비전(벽결이TV)의 디스플레이장치로도 알맞다.
 
3.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퍼스널 커뮤니케이터(Personal Communicator), 퍼스널 인포메이션 프로세서(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등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는 초소형 컴퓨터이다. 약칭은 PDA.

작은 패키지 안에 펜(pen)입력장치, 문자인식기능, 풍부한 개인정보관리프로그램 및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장비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소형단말기(PDA)는 전자펜으로 액정(液晶)화면에 글을 쓰면 이를 인식하여 액정화면위에 나타내주므로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쉽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모뎀(modem, 變復調장치)을 사용하여 팩스데이터 및 전자우편 정보를 원하는 곳과 상호 교환할 수 있으며, 패킷(packet) 라디오, 셀룰러 패킷 데이터(cellular packet data)와 같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해 원하는 상대방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4.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MP3플레이어에 LCD화면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TV에서 녹화하거나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동영상을 저장해서 언제 어디서나 간단히 볼 수 있다. 2002년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빌 게이츠 회장이 휴대용기기 전용 운영체제 <미디어투고(Media2Go)>를 발표하면서 가시화됐으며, MP3의 뒤를 이을 차세대 디지털기기로 영화는 물론이고 교육용으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5. PSP (Play Station Portable)
소니 사에서 나온 모바일 게임기.
 
6.와이브로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이동하면서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광대역인터넷을 이르는 말이다. Wireless Broadband Internet(무선광대역인터넷)을 줄인 말로, 휴대인터넷, 무선초고속인터넷, 무선광대역인터넷 등으로도 부른다. 기존의 무선인터넷인 시디엠에이(CDMA)와 무선랜의 장점만을 골라 새로 만들어 낸 서비스이다.

PC·노트북컴퓨터·휴대용정보단말기(PDA)·차량용 수신기 등에 무선랜과 같은 와이브로 단말기를 설치하면 길거리나 자동차·지하철 안에서도 이동중에 자유롭게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와이브로 사업은 2002년 10월 정보통신부가 처음에 무선가입자용(N-WLL)으로 쓰던 2.3㎓ 주파수 대역을 무선광대역인터넷용으로 다시 분배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뒤 정부는 무선광대역인터넷 명칭을 <와이브로(WiBro)>로 정하고, 삼성전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한 기술표준 <HPi>을 국내의 무선광대역인터넷 기술표준 초안으로 확정하였다.

2005년 1월 정보통신부가 와이브로 사업자로 KT, SK텔레콤 등을 선정하였으며, 2006년 6월 30일 마침내 KT와 SK텔레콤이 서울 일부지역에서 세계 최초로 와이브로 상용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6년 8월 삼성전자가 스프린트·인텔·모토로라 등 미국기업과 와이브로 분야협력 및 상용서비스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으며, 2007년 10월 한국의 와이브로 기술이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파통신총회에서 3세대 이동통신(IMT-2000)의 국제표준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다.
 
7. 유비쿼터스 (Ubiquitous)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 라틴어로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뜻이다. 1988년 미국의 사무용 복사기 제조회사인 제록스의 마크 데이비드 와이저(Mark D. Weiser, 1952~1999)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처음 등장하였다.

유비쿼터스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같이 말을 덧붙인 형태로 쓰인다.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은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유비쿼터스 네트워크(Ubiquitous Network)는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접속해 컴퓨터를 쓸 수 있는 환경을 이른다.

노트북 컴퓨터나 PDA의 보급, 광대역통신이나 무선 LAN의 보급으로 그런 환경에 가까이 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본래의 유비쿼터스는 여기서 더 나아가 휴대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착용식 컴퓨터(wearable computer)는 물론, 몸에 지니지 않아도 어떤 공간에 갖가지 컴퓨터를 집어넣어 그것들이 서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컴퓨터를 쓸 수 있는 환경을 가리킨다. 이것이 실현되려면 모든 네트워크나 컴퓨터의 표준화가 절실하다. 이러한 제약으로 2004년 현재 일반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휴대성과 시공을 뛰어넘는 편의성 때문에 세계적으로 개발 경쟁이 일고 있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멀티미디어신호를 디지털방식으로 바꿔서 수신기로 수신해주는데, 여기서 지상파와 위성으로 나누어 집니다~
우선, 위성은 인공위성 아시죠?  방송국에서 그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게 되면

인공위성이 전국적으로 다시 DMB단말기에 뿌려주는 게 되죠. 예를들어 'tu' 가 위성DMB의 예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상파는 땅 위에서 주파수를 이용하는 건데 위성DMB와 달리 기지국을 통해서 방송이 송출됩니다.


PDP(Plasma Display Panel)

흔히 말하는 평면 TV인데, 그 원리는 2장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작은 셀을 다수 배치하고

그 상하에 장착된 전극(+와 -)사이에서 가스(네온과 아르곤)방전을 일으켜 거기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

자기 발광시켜 컬러화상을 재현하는 것입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 휴대용 컴퓨터의 일종인데요.

집이나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로 작성한 문서파일을 집어 넣으면 이동하면서도 계속 작업이 가능하고,

전자수첩과 마찬가지로 개인정보관리나 일정 관리가 가능한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를 말합니다.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가지고다닐 수 있는 휴대용멀티미디어재생기 라고 보시면 됩니다.

4.3인치 정도의 화면이고 요즘 학생들이 인터넷 강의 듣는다고 많이 사기도 하죠.
요즘 pmp는 mp3기능에 전자사전, 네비게이션, DMB장착등 날로 발전해가고있죠.


PSP

플레이스테이션 이라고 비디오게임기 입니다.
일본 소니꺼구 텔레비전의 AV 단자에 연결해 텔레비전 화면으로 게임을 보면서 전용 컨트롤러로 게임을 하고

기존의 게임기와 달리 콤팩트디스크(CD)를 매체로 사용합니다.
또 기가팩인가 해가지구 pmp랑 비슷하게 생겼는데 mp3기능, pmp(동영상보는)기능 있는데.

게임소프트 (미니cd)를 테이프 넣듯이 넣어서 가지고다니면서 게임과 동영상을 볼수 있습니다.


와이브로

이동하면서도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휴대인터넷 입니다.
퍼스널컴퓨터, 노트북컴퓨터, PDA, 차량용수신기 등에 무선랜과 같은 와이브로 단말기를 설치하면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인터넷을 할 수 있답니다.


유비쿼터스

사용자가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말하는데요.
자동차, 냉장고, 안경, 시계, 스테레오장비 등과 같이 어떤 기기나 사물에 컴퓨터를 집어넣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기술(IT) 환경 또는 정보기술 패러다임을 뜻합니다.
   
 출처: Daum 신지식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는 대한민국의 표준 모바일 플랫폼의 이름이다. 통신사간의 모바일 플랫폼을 표준화함으로서,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통신사에서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WIPI는 한국어로 '위피'라 읽는다.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WIPI)

Wi-Fi(와이파이)는  홈 네트워킹, 휴대전화, 비디오 게임 등에 쓰이는 유명한 무선 기술의 상표 이름이다. 와이파이는 현대의 개인용 컴퓨터 운영 체제, 고급형 게임기, 프린터, 다른 주변 기기에서 지원된다.

반응형

About

by 쑤기c

반응형